평정 PYEONGJUNG

B2G, B2B, B2C 본문

기업 가이드

B2G, B2B, B2C

평정 컨설팅 2023. 9. 27. 10:09

 


 

 
 
B2C는 기업과 소비자 간의 거래 즉 , 기업이 제공하는 물품 및 서비스가 소비자에게 직접적으로 
제공되는 거래 형태를 설명하는 용어입니다. 흔히 말하는 전자상거래가 대표적입니다.
기업과 소비자 간의 직접 거래로 인해 중간 단계의 거래가 제외되므로 할인된 가격으로 구입이 가능합니다.
간단히 말해서 기업과 소비자 간의 도매상이나 소매상 없는 다이렉트 거래를 말합니다. 
 

 


 

 
 
B2B는 기업과 기업 간의 거래관계를 말하며  보통 고가의 제품이나 서비스를 다루기 때문에 
복잡한 프로세스가 필요하며, B2B의 대표적인 예로는 부품, 원자재, 기술, 인력, 서비스 등이 있습니다.
거래 유형은 구매자가 운영하는 전자상거래 사이트에 다수의 판매자가 접속하여 거래가 이루어지는
구매자 중심형과 반대로 판매자가 운영하는 사이트에 다수의 구매자가 접속하여 거래하는 
판매자 중심형, 중개용 사이트에 다수의 판매자와 구매자가 접속하여 거래하는 중개자 중심형으로 구분합니다. 
기업들은 온라인상에서 상품을 직거래하기 때문에 비용절감과 시간절약이 장점입니다. 
 
 

 

 

 
B2G는 온라인상에서 이루어지는 기업과 정부 간의 상거래를 말하며 단순히 정부뿐만 아니라 
지방정부, 공기업, 정부투자기관, 교육기관등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B2G의 단점은 자국 입찰에 대한 자국기업을 대상으로 지향하기 때문에 글로벌한 조달업체와 하도급 업체 등
정보제공기능이 미약하고, 국제적인 거래 연계 기능이 어렵다는 점, 거래 추제 간의 온라인 실거래 기능이 없는 점입니다. 
 

 


 

 
 

B2G 마케팅이란 정부를 대상으로 진행하는 마케팅을 말합니다.
단순하게 정부의 조달청이나 나라장터를 통해 납품하는 것을 떠오르실 수도 있습니다. 
중앙정부, 지방정부, 정부기관, 공기업, 공공기관, 정부투자기관, 병원, 어린이집,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도서관, 위탁교육기관, 각종 협회, 체육시설, 예술기관, 정부기구, 국제기구등 범위가 굉장히 넓습니다. 
거기에 관련된 주체도 다양하고 많습니다.
시공업체, 하도급업체, 위탁업체, 담당공무원, 컨설팅업체 등 많고 다양합니다. 
B2G의 가장 매력적인 점은 국내제품의 성능이 외국제품에 비해서
조금 떨어지거나 구매가격이 조금 비싸더라도
구입하는 경우가 있는 것입니다. 
"사회적 정당성"을 주는 서비스나 제품이 있다면 정부기관이
투자하거나 구매가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국내에서 만들어진 제품이나 서비스가 외국보다 비싸고 품질이 조금 떨어지더라도 구입을 한다는 점입니다.
자국에서 직접 생산, 수리, 업그레이드를 하면서 고용을 촉진시키고 투자를 유치하며
자국 기술의 발전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정부는 세금이 투입되는 것이기 때문에
"사회적 정당성" 가지고 있다면 예산집행의 확실한 근거가 되기 때문이죠.
 

 

 

 

 

'기업 가이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공능력평가 핵심정리  (0) 2023.10.13
경영컨설팅 어디까지 아시나요?  (0) 2023.10.10
키스콘 실태조사  (0) 2023.09.25
신기술 인증 NET  (0) 2023.09.21
성공하는 중소벤처기업  (0) 2023.09.18